top of page
OZ TILE-040.jpg

OZTILE Showroom

Category

Architecture Design,  Interior Design, Branding

Classification

Commercial Facility

Location

Songjeong, Busan

Design / Construction

Atelier MODS / Kai architects

Completion Date

July, 2024

Site Area

595.30m² / 180.08py

Bldg Area

355.29m² / 107.48py

Gross Area

593.23m² / 179.45py

Bldg Scope

1F,  2F

Photograph

var.mk

Collaboration

COMPASS Architects

‘대지의 특성과 설계 개념’

 

송정의 매립지에 있는 대지는 서쪽으로 큰 대로변을 따라 송정역이 있으며, 동쪽으로는 기존 하천을 매립해 조성된 산책로가 이어지는 도시 구조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건축은 주변 환경과 조화를 이루며, 도시와 자연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높이 제한과 밀집된 주거 환경을 고려하여 저층부에는 시선을 차단하는 담장을 배치해 도심과 완만한 경계를 형성하고, 상층부는 내부 창을 중심으로 설계하여 주변 주거환경의 프라이버시 확보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진입 동선과 담장이 형성하는 공간적 경험’

 

건물은 1층의 로비와 사무공간, 2층의 판매 및 전시공간으로 구성되며, 담장을 따라 길게 이어지는 진입 동선을 통해 이용자가 건물의 전체적인 형태를 파악한 후 내부로 자연스럽게 유입될 수 있도록 계획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건축과의 첫 만남을 단계적으로 경험하며, 물리적 경계를 넘어서 공간을 체험하게 됩니다.

건물과 담장 사이에는 처마와 높은 담이 배치되어, 외부 환경과 내밀한 공간 사이에서 심리적 완충 역할을 합니다. 담장은 정돈된 건물 외벽과 대비되도록 종석미장으로 마감하여 거친 질감을 강조하며, 시간의 흔적과 주변 환경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했습니다. 이용자는 담장을 따라 걸으며 빛과 그림자의 변화, 켜켜이 쌓인 외부 공간이 만들어내는 다양한 공간적 층위를 경험하게 됩니다. 

이러한 동적인 공간 구성은 단순한 동선을 넘어, 건축을 감각적으로 체험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보이드(VOID) 공간의 역할과 기능’

 

건물 전체를 관통하는 두 개의 수직 보이드와 한 개의 수평 보이드는 평면 구성에 입체적인 깊이를 더하며, 층간을 연결하는 비물질적 요소로 작용합니다. 이는 단순한 공간 구획을 넘어, 시선과 빛, 바람이 자유롭게 흐를 수 있도록 돕는 매개체 역할을 합니다. 

​진입부에서 마주하는 코너의 수직 보이드 공간은 조경 식재를 통해 내부로 확장되며, 2층 높이의 자작나무는 실내외를 연결하는 시각적 매개체로 기능합니다. 자연 요소가 스며든 공간 속에서 건축은 단순한 구조물을 넘어 환경의 일부로 작동하게 됩니다.

담장의 수평 보이드와 중앙의 수직 보이드 공간은 층과 공간을 물리적으로 구분하는 동시에, 서로 다른 공간을 연결하며 이용자 간의 관계를 형성하도록 유도합니다. 열린 공간을 통해 확장된 시선은 경계를 흐리게 하여 공간이 보다 다채로운 방식으로 경험될 수 있도록 만듭니다.

‘빛과 공간의 변화가 주는 다채로움’

 

외벽에 반사된 빛은 시간에 따라 변화하며, 이러한 변화는 공간의 표정을 다양하게 만들고, 이용자에게 매 순간 새로운 경험을 제공합니다. 아침과 저녁, 계절에 따라 달라지는 빛의 흐름은 건축이 단순한 정적인 형태를 넘어, 시간과 함께 살아 숨 쉬는 존재임을 드러냅니다. 공간은 기능적 요소를 넘어 감각적으로 체험되며, 시간과 자연의 변화를 담아내는 장(場)이 됩니다.

OZ TILE-046.jpg
OZ TILE-001.jpg
OZ TILE-010.jpg
OZ TILE-037.jpg
bottom of page